바다가 푸르게 넓게 펼쳐진 지평선을 보면 마음도 확 뚫린듯 시원하고 맑은 느낌을 받습니다. 이런 풍경에 도취되어 잠시 아무생각 없이 멍해질수 있지만 저 깊은 푸른 색깔을 보면서 왜 이렇게 진한 파란색을 띄는지에 대한 궁금증 또한 생길수 있습니다. 이글에서는 바닷물이 왜 파란색으로 보이는지에 대한것을 과학적인 관점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바다 색깔과 빛의 스펙트럼
●물이 빛을 흡수하는 색과 반사하는 파란색
●빛의 조건에 따른 바다색
●천연 해조류의 역할
●결론
바다 색깔과 빛의 스펙트럼
바닷물은 주로 파란색으로 보이지만 물을 손으로 올렸을때는 투명색임을 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멀리서 보는 바다 색깔은 왜 파란색으로 보일까요? 이는 물과 이를 반사하는 빛의 스펙트럼으로 인한 상호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물 자체는 빛을 흡수하면서 또 빛을 반사하는데, 이렇게 반사하는 색은 물에 반사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이 결정됩니다.
물이 빛을 흡수하는 색과 반사하는 파란색
빛의 스펙트럼중 빨간색 그리고 초록색은 긴 파장의 성질을 지닙니다. 이 긴 두색깔은 물에 의해 흡수 됩니다. 이와는 다르게, 빛 중 짧은 파장의 성질을 지닌 파란색 빛은 물에 거의 흡수가 되지 않아 반사됩니다. 이러한 빛과 물의 성질에 의해 바닷물이 파 보이게 됩니다. 또 바닷물의 출렁거림으로 인한 파도가 거품을 만드는데 이는 빛을 여러 각도로 반사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바다가 푸르게 보이게 됩니다.
빛의 조건의 따라 다른 바다색
해면의 색깔은 빛의 여건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햇빛의 강도가 강할수록 물과 빛의 성질에 따라 긴 파장은 잘흡수하고 짧은 파장은 반사하는 정도가 더 강해져서 바다물은 더 진한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흐린 날씨의 바다색과 해질녘 노을빛 에서의 바다색은 맑은날과 다르게 보이는것을 경험하실수 있습니다.
천연 해조류의 역할
바다물의 파란색의 색깔은 바다 아래에 여러 식물등에 의해 다른 색깔을 보이기도 합니다. 해조류 산호초 같은 식물성 물질은 바다물의 색상을 투명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산호초등의 해조류가 많은 곳이 물이 투명도와 반사율등의 비율이 바뀌어 바다색이 다르게 보일수 있습니다.
결론
바닷물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물의 빛의 흡수하는 성질과 빛의 스펙트럼 사이의 여러 성질등으로 인해 바다의 색이 결정됩니다. 그리고 빛의 정도와 바다아래의 해조류등이 바다색의 여러가지 색깔을 만들어 냅니다. 이렇듯 여러 요소가 함께 적용되어 바다의 아름다운 푸른 색을 띄게 됩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0) | 2023.08.23 |
---|---|
하늘이 파란 이유? 시간에 따라 하늘색이 변하는 이유는? (0) | 2023.08.21 |
바다에서 파도가 치는(생기는) 이유 및 원리 (0) | 2023.08.21 |
바닷물이 짠 이유와 마시면 안되는 이유는?(해수욕 후 이것 필수) (0) | 2023.08.13 |
얼음물컵에 서리가 생기는 이유는? (0)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