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지구는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보금자리로, 이 지구에는 땅으로 불리우는 지각과 대기가 존재합니다. 이런 대기에는 수증기, 먼지, 여러입자들로부터 생긴 여러 형태의 구름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늘을 보면 항상 구름은 흔히 볼 수 있는것 중 하나인데, 이 구름이 왜 생기며 이 구름이 왜 흰색깔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름이 생기는 과정(이유)
우리가 흔히 볼수 있는 구름은 땅이나 바다에서 생기는 수증기가 공기상에서 상승부 대기권으로 오르다가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등으로 인해 물방울이나 얼음등의 결정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으로 구름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응결과정이라 불립니다. 이러한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증발
바다나 대지 등에서 뜨거운 햇빛이나 열작용등으로 인해 물이 수증기로 변화해 대기로 상승 합니다.
상승
따뜻하게 생긴 수증기는 대기위로 상승하면서 따뜻하고 고기압인 지역에서 점점 좀더 차가우면서 저기압 지역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이렇게 올라간 수증기는 위에 대기의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면서 갑작스럽게 차가워 지게 됩니다.
응결
갑작스럽게 차가워진 수증기는 그 입자들의 차가워지면서 응결핵이 만들어집니다.
이 응결핵은 점점 얼음의 결정등으로 만들어 집니다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 형성
응결핵에 주변의 따뜻한 공기들이(수증기) 차가워지면서(응축) 물방울등이나 얼음의 결정등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구름 형성
물방울과 구름의 결정등이 점차 조금씩 모이고 모여서 구름의 형태를 만들게 됩니다.
구름이 흰색인 이유는?
구름이 흰색인 이유는 빛과 관련이 있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빛과 구름과의 산란을 통해 흰색으로 보인다고 할수 있습니다.
구름은 앞서 말했듯이 물방울등이나 얼음 결정이 모여서 만들어지는것으로 그 구성하는 결정등이 여러 모양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여러 모양의 입자들은 구름으로 들어오는 빛은 여러 각도로 산란하게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 결정들과 빛이 여러 요소 의 입자와 부딪혀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위의 산란현상을 '레이리 산란'이라 합니다.구름이 입자들이 아주 세밀하고 균일하다면 그 색은 투명하거나 파란색 하늘과 구분이 가지 않을수 있는데 구름은 다양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여러 산란과정을 거쳐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결론
구름은 응결과정을 통해 만들어 지고 이 만들어진 구름의 여러 모양의 결정상태와 빛의 산란으로 인해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태양 빛의 레이리 산란 현상이라하였습니다. 이러한 구름이 있기에 적절하게 비를 내려 농사를 짓고 식물 및 여러 생명체의 영양분을 키울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블루문 수십년만에 생기는 이유 (0) | 2023.08.31 |
---|---|
역파도 현상 이류현상이란? 대처방법의 모든것 (0) | 2023.08.29 |
인터스텔라 블랙홀(시공간 변화 및 빛의 흡수) (0) | 2023.08.24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0) | 2023.08.23 |
하늘이 파란 이유? 시간에 따라 하늘색이 변하는 이유는? (0) | 2023.08.21 |